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9

자기동제의 심리적 과정 욕망의 조정은 자기통제(self-control)의 문제로 귀착될 수 있다. Bandura(1991)는 사회인지 이론(social cognitive theory)을 제시하면서 개인의 행동은 사고나 신념과 같은 인지적 요인뿐만 아니라 사회적인 환경적 요인을 포함한 다양한 요인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다고 주장했다. 그에 따르면, 자기효능감과 결과 기대가 개인에게 특정한 행동을 선택하고 그러한 행동을 지속하게 하는 동기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다. 자기효능감은 실제 능력과 상관없이 자신이 특정한 과제를 잘 수행할 수 있는 믿음을 의미하며, 결과는 그러한 행동의 결과로 얻을 수 있다고 예상하는 결과에 대한 믿음을 뜻한다. 이러한 주장을 하면서 Bandura는 새로운 행동을 유발하게 만드는 자기통제 과정을 세 단계로.. 2022. 6. 23.
반사회성 성격장애 반사회성 성격장애는 사회의 규범이나 법을 지키지 않으며 무책임하고 폭력적인 행동을 반복적으로 나타내어 사회적 부적응을 초래하는 경우를 말한다. 이 성격장애를 지닌 사람들은 절도, 사기, 폭력과 같은 범죄에 연루되는 경우가 흔하다. DSM-5의 진단기준에 따르면, 반사회성 성격장애는 타인의 권리를 무시하거나 침해하는 행동양식이 생활 전반에 나타나며 이러한 특성이 15세부터 시작되어야 한다. 아울러 다음의 특성 중 3개 이상의 항목을 충족시켜야 한다. (1) 법에서 정한 사회적 규범을 준수하지 않으며 구속당할 행동을 반복한다. (2) 개인의 이익이나 쾌락을 위한 반복적인 거짓말, 가명 사용 또는 타인을 속이는 사기 행동 (3) 충동성 또는 미리 계획을 세우지 못한다. (4) 빈번한 육체적 싸움이나 폭력에서 .. 2022. 6. 21.
다양한 문화를 구분하는 네 차원 문화는 매우 다양하고 복합적인 요소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단순히 지역, 역사, 종족에 따라 구분하기 어렵다. 네덜란드인 사회심리학자 Geert Hofstede(1980, 1991, 2001)는 실증적인 연구자료에 근거하여 세계 여러 국가의 문화를 권력거리, 개인주의-집단주의, 남성성-여성성, 불확실성 회피의 네 차원으로 분류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다국적 기업인 IBM에 근무하는 66개국 11만 7,000명의 종업원을 대상으로 작업 목표와 가치에 관한 조사를 실시했다. 연구 대상은 학력, 연령, 근로조건이 대체로 비슷했지만 단지 국적만 다르기 때문에 이들이 나타내는 차이는 문화의 차이를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 응답자의 자료를 요인 분석한 결과, 문화의 차이를 잘 나타내는 네 개의 차원, 즉 권력.. 2022. 6. 19.
기질의 9가지 차원 인간은 각기 다른 기질을 지니고 태어난다. 신생아실의 간호사들은 갓 태어난 아이들마다 기질이 다름을 잘 알고 있다. 수유 시간이 조금만 늦어도 큰 소리로 울어 대는 아이가 있지만, 순하게 잘 기다리는 아이도 있다. 잘 자지 않고 손발을 계속 버둥거리는 아이가 있지만, 조용히 누워서 눈만 깜빡거리는 아이도 있다. 기질은 유전에 의해서 선천적으로 타고나는 개인의 반응 성향을 의미한다. 아동이 나타내는 기질의 개인차는 연구자에 따라서 다양한 방식으로 분류되고 있다. 미국의 발달심리학자인 Thomas와 Chess(1977 , 1984, 1986)는 아동의 기질을 조사하기 위한 대규모의 종단적 연구를 시행하여 기질 연구의 초석을 마련했다. 이들은 1950년대부터 133명의 영아를 대상으로 성인 초기까지 추적하며 .. 2022. 6. 19.